업무 프로세스
MBO(Management By Objectives): 업무 목표만을 지시하고 그 달성방법은 종업원에게 맡기는 관리방법으로 어느 경우이건 관리자는 명령하지 않고 종업원의 자주적 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주며 종업원 상호 간에 조정
Web Application: 소프트웨어 공학적 관점에서 인터넷이나 인트라넷을 통해 웹 브라우저에서 이용 할 수 있는 응용 소프트웨어
BPR(Business Process Reengineering): 기업 경영 내용이나 경영 과정 전반을 분석하여 경영 목표 달성에 가장 적합하도록 재설계
AS-IS 분석 기법: 있는 그대로, 현재의 업무 프로세스를 분석
프로세스 목록 작성 (업무를 대분류, 중분류, 세분류로 나누고 프로세스 설명 등 목록 작성)
프로세스 체계도 작성 (업무가 어떤 체계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지 대하여 계층구조 형태로 업무 분류)
프로세스 정의서 작성 (업무의 흐름에 대하여 Flow Chart 형태로 업무를 정의하는 작업)
TO-BE 분석 기법: 미래에 구현하고자하는 업무 프로세스를 정의하는 분석
ERP(Enterprise Resource Planning): 관리시스템의 경영자원을 하나의 통합 시스템으로 재구축함으로써 생산성을 극대화하려는 경영혁신기법
SIS(Strategic Information System): 기업이 경쟁 우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구축, 이용하는 전략 시스템
CSF(Critical Success Factors ): 성공에 불가결한 요인을 찾아내어 경영상 중요한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
POS(Point Of Sale, 판매 시점 관리): 판독 장치 등을 컴퓨터에 연결하여 상품 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
ITA(Information Technology Architecture): 조직 전체의 정보화 구성 요소들을 통합적으로 분석한 뒤 이들 간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정리한 체계
EA(Enterprise Architecture): 기업의 목표와 요구를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IT인프라 각 부분이 어떻게 구성되고 작동돼야 하는가를 체계적으로 기술하는 작업을 말한다.
TRM(Technical Reference Model): 조직의 정보화 추진을 위한 정보 서비스의 기본 틀과 개념을 추상화한 구조 및 구성 요소 간 인터페이스를 정의한 모형.
개방형 시스템 환경을 기본으로 한다.
SP(Standards Profile): 상호 접속이나 상호 운용이 쉽도록 하기 위한 상세 규격
SWOT분석: 기업의 환경분석을 통해 강점과 약점, 기회와 위협 요인을 규정하고 이를 토대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기법
ISP(Information Strategy Planning): 정보 시스템 구축의 출발점인 계획 단계. 경영전략을 토대로 비즈니스에 필요한 종합적인 정보구조체계를 정립하고 향후 전사적인 통합시스템의 구축을 위한 실행계획을 수립
RTE(Real-Time Enterprise): 주요 정보의 실시간 공유 및 그에 따른 빠른 의사 결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실시간 경영 관리 시스템
SCM(Supply Chain Management): 제품이 생산되어 판매되기까지의 모든 공급과정을 파악·관리하는 경영 전략 시스템
CRM: 기업이 고객 관계를 관리해 나가기 위해 필요한 방법론이나 소프트웨어
BPM(Business Process Management): 업무프로세스를 표준화·간소화하고, 비정형화된 업무구성을 시스템화해 임무와 책임을 명확히 하고자 하는 경영방법
BPMS(Business Process Management System): 프로세스를 명확히 정의하고 자동화, 최적화하며, 업무와 인간과 시스템간의 관계를 통합 관리하는 시스템
SEM(Strategic Enterprise Management): 기업의 가치를 극대화 하기 위한 경영전략을 수립하고 전략 중심형조직을 구축하고 실행하는 경영 프로세스와 시스템
가치기준경영(VBM), 균형성과 관리(BSC), 활동기준관리(ABM) 등으로 구성
BSC(Balanced Score Card ): 미래의 경쟁력 향상을 위한 지표로서 고객(고객만족도, 신규고객창출), 내부프로세스(혁신, 운영), 학습(직원역량, 정보시스템능력) 등을 추가하여 균형있게 평가하는 무형의 자산
VBM(Value Based Management): 경제적 이익에 근거한 기업가치 중심으로 하는 기업 관리 기법.
ABC(activity based costing): 비즈니스를 업무 활동 단위로 세분해서 각 업무 활동 단위마다 소요 경비를 수치화 하는 방법
EVA(Economic Value Added, 경제적부가가치):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창출한 순가치의 증가분으로 (영업이익-법인세-자본비용)=차감한 이익
5FORCE: 마이클 포터에 의해 제안된 산업 분석 도구
- 산업에 존재하는 5가지 요소가 해당 산업의 수익률을 결정하는데, 이들 요소가 많고 그 힘이 강할수록 해당산업의 평균 수익률은 낮아진다고 정의
1) 기존 기업들 간 경쟁 : 유리한 위치 차지를 위한 여러 전략
2) 잠재적 진입자들의 위협 : 유망 산업으로의 새로운 기업 진출 (강한 의욕, 많은 자본)
3) 대체 상품의 위협 : 차별화 된 기능/서비스 필요
4) 구매자들의 교섭력 : 가격 인하, 품질 개선, 서비스 증대 요구 기업간 과도한 경쟁 유발
5) 공급자들의 교섭력 : 가격 인상, 판매 거절, 서비스 질 하락 등 위협
Mckinsey 7S Model: 순수한 전략 모델이라기보다도 조직개발 또는 조직 변혁 모델
전략(Strategy)
기술(Skill)
공유가치(Shared Value)
구조(Structure)
시스템(System)
종업원(Staff)
스타일(Style)
회계: 유용한 재무적 정보(financial information)를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 또는 체계
손익계산서: 순이익을 계산·확정하는 보고서
CALS(Commerce At Light Speed): 1985년 미국 국방부가 제창한 개념. 발생하는 모든 정보를 디지털화해 관련기업간에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시스템
마르미: 1994년 국내의 개발여건을 반영하여 국내 기술진에 의해 개발된 한국형 정보시스템 구축
CBD(Component Based Development): 레고 블록처럼 하나하나씩 요소별로 부품화하여 구축
PDM(product data management ): 제품의 기획에서 설계/제조/인증 및 마케팅에 이르는 제품 개발의 각 과정의 모든 데이터를 일원적으로 관리
BOM: 어떤 제품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부품의 소요량
MIS(Management Information System): 경영 관리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공급하여 생산성과 수익성을 높이고자 하는 정보 체계
PI(Process Innovation ): 회사의 업무 프로세스 조직 IT 등 기업활동의 전 프로세스, 조직, 부문에 걸쳐 불필요한 요소들을 제거하고 효과적인 업무 프로세스를 재구축
Six Sigma: 품질 혁신과 고객 만족을 달성하기 위한 과학적이고 합리적인 문제 해결 방법
1980년대 말 미국의 모토로라사에서 품질 혁신 운동으로 시작되어 세계적인 초우량 기업들이 채택함
EAI(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): 데이터 웨어하우스(DW)나 기업 자원 관리(ERP) 등 기업에서 운영하는 서로 다른 애플리케이션을 통합, 업무의 효율성을 높이려는 시도를 일컫는 개념
VOC(Voice of Customer): 고객불만사항을 접수부터 처리가 완료될 때까지 처리상황을 실시간으로 관리·평가함으로써 고객의 체감서비스를 향상시키는 고객관리시스템
MOT(Moment of Truth): 제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조직과 어떤 형태로 접촉하든 발생하는데, 이런 결정적 순간들이 모여 소비자는 품질에 대한 만족도와 기업에 대한 이미지를 평가하게 된다.
Semantic Web: 사용자가 정보를 검색하면 컴퓨터가 정보를 찾아 그 뜻을 이해하고 추론까지 하는 컴퓨터 기술로 월드 와이드 웹(WWW)의 확장자이다.
월드 와이드 웹의 창시자이자 세계웹표준화기구(W3C, World Wide Web Consortium) 소장인 영국의 팀 버너스 리이다.
애덤 스미스: 영국의 정치경제학자·도덕철학자로 고전경제학의 창시자이다. 근대경제학,마르크스 경제학의 출발점이 된 《국부론》을 저술. 경제행위는 '보이지 않는 손'에 의해 공공복지에 기여
BRMS(Business Rule Management System):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비즈니스 룰을 분리시켜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전용 플랫폼
- Business Rule: 기업 정책, 사업 전략, 업무 규칙 및 절차, 정부 규제, 각종 준수사항, 업무 경험, 지식, 노하우 등
- 비즈니스 룰을 분리시키는 이유는 ALC(어플리케이션 수명 주기)와 RLC(비즈니스 룰 수명 주기)가 서로 이질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어서 이를 실시간으로 동기화 시키기가 비효율적이고 어려움
- 장점: 상시적인 변화 수용 용이, 비즈니스 속도 개선, 커뮤니케이션 비용 절감
TPS(Transaction Processing System ): 반복적이고 일상적인 거래를 처리하고 그 거래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정보시스템
MSS(Management Support System): 중간관리자들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경영지원시스템
EIS(Executive nformation System): 최고경영층의 전략적 경영 활동을 지원 중역정보시스템
DSS(Decision Support System): 컴퓨터를 사용하여 정형화되지 않는 문제에 관해 의사 결정자가 효과적인 의사 결정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
KPI(Key Performance Indicator): 조직의 목표 달성의 정도를 계량하는 지표. 비즈니스 활동 모니터링
채찍효과(Bullwhip Effect): 하류의 고객주문 정보가 상류로 전달되면서 정보가 왜곡되고 확대되는 현상
푸시 방식: 고객 단말기에 쿠폰이나 마일리지, 할인서비스 등을 텍스트나 이미지로 제작하여 전달하는 방식.
풀 방식: 고객의 반응을 이끌어 내어 마케팅 , 프로모션에 대한 고객의 참여를 유도
KMS(Knowledge Management System ): 조직이나 기업의 인적 자원이 축적하고 있는 개별적인 지식을 체계화하여 공유함으로써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업 정보 시스템
CoP(Community of Practice ): 공동의 주제와 목적을 가진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모여 서로 신뢰를 바탕으로 해당 주제 영역의 지식과 기술을 체화하고, 체득된 결과를 공유하고 실천함으로써 지식을 창조하고 공유하는 집단
SOA(Service Oriented Architecture): 1996년 컨설팅업체 가트너가 처음 소개한 것으기업의 소프트웨어 인프라인 정보 시스템을 공유와 재사용이 가능한 서비스 단위나 컴포넌트 중심으로 구축하는 정보 기술 아키텍처(시스템 구성).
EDI(Electronic Data Interchange): 기업 간 수주, 발주, 수송, 결제 등 상업 거래를 위한 자료를 데이터 통신 회선을 통해 표준화된 포맷(format)과 규약에 따라 컴퓨터 간에 온라인으로 전달하는 것.
COCOMO(COnstructive COst MOdel): 배리 보임 소프트웨어 개발의 비용 예측 모형 중 하나이며,회귀공식을 만들어 소프트웨어 개발 비용을 산정한다.
PRM(Partner Relationship Management ): 기업이 고객의 만족도와 매출을 높이려고 파트너들과 협업하는 솔루션
Server Side: 네트워크의 한 방식인 클라이언트-서버 구조의 서버 쪽에서 행해지는 처리
형상 관리(Configuration Management): 시스템 형상 요소의 기능적 특성이나 물리적 특성을 문서화하고 그들 특성의 변경을 관리하며, 변경의 과정이나 실현 상황을 기록/보고
DFD(Data Flow Diagram, 자료 흐름도)
1. 처리과정 또는 프로세스
2. 데이터 흐름
3. 데이터 저장소
4. 종단점(terminator) 또는 (외부엔티티 )
Connectivity(연결성): 서로 다른 기종 접속의 접속성. 최근에 사무 자동화(OA) 기기, 통신기기의 신제품 발표와 더불어 여러 제조업체의 기기로 시스템
알프레드슬로안2세: 20세기 초에 자동차 산업의 선구자 , 경영학의 아버지로 아담 스미스의 분업의 원칙
ASP(Application Service Provider):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제공업체, 즉 웹애플리케이션 호스팅 서비스를 하는 사업
WBS(Work Breakdown Structure): 프로젝트 일정 관리 기법으로 프로젝트를 여러 개의 작은 소단위로 분해하여 계층 구조로 표현
BI(Business Intelligence): 기업들이 신속하고 정확한 비즈니스 의사 결정을 위해 사용하는 데이터의 접근, 수집, 보관, 분석 등의 애플리케이션과 기술의 집합.
PLANT FACTORY(식물공장): 최첨단 고효율 에너지 기술을 결합해 실내에서 다양한 고부가 가치의 농산물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스마트 농업.
BCP(Business Continuity Planning ): 재난 발생 시 비즈니스의 연속성을 유지하기 위한 계획. 재해, 재난으로 정상적인 운용이 어려운 데이터 백업 및 핵심 업무기능을 지속하는 환경을 조성해 기업가치를 최대화하는 것
RTO: 비상사태 또는 업무중단 시점부터 업무가 복구되어 다시 정상가동 될 때까지의 시간
MRP(Material Requirement Program): 자재의 소요량 흐름을 종합적으로 관리하는 생산관리 시스템
TQM(Total Quality Management): 제품이나 서비스의 품질 뿐만 아니라 경영과 업무, 직장환경, 조직 구성원의 자질까지도 품질개념에 넣어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.
TQC(total quality control) : 조직적으로 제품의 질을 높이려고 노력
CKO(Chief Knowledge Officer ): 기업내의 지식 활동을 총괄하는 최고 책임자.
EDMS: 다양한 형태의 문서와 자료를 그 작성부터 폐기에 이르기까지의 모든 과정을 일관성 있게 전자적으로 통합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
CPM(Corporate Performance Management): 기업 경영 환경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예측 경영을 통한 최적의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
EP(Enterprise Portal): 기업들이 인터넷 사업을 하려고 종업원, 고객, 공급자, 동업자 들을 하나로 묶어서 기업의 여러 정보와 업무 처리 들을 지원하는 사이트
EIP(Enterprise Information Portal): 기업 내부 정보는 물론 주식, 뉴스 등 외부 정보까지 통합해 웹 포털 형태로 제공하는 통합 정보 시스템
RFID(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): 극소형 칩에 상품정보를 저장하고 안테나를 달아 무선으로 데이터를 송신하는 장치로써 유통분야에서 일반적으로 물품관리를 위해 사용된 바코드를 대체할 차세대 인식기술
e-Biz: 1997년 IBM이 주창한 개념,인터넷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상품과 서비스 를 제공하고 그와 관련된 모든 거래행위와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비즈니스 활동.
AIS(Accounting Information System): 회계 정보를 회사 전체의 종합 시스템으로 결합/처리하여 경영 각층에 필요한 정보가 제공되도록 한 시스템.
Reengineering: 인원삭감, 권한이양, 노동자의 재교육, 조직의 재편 등을 함축하는 말로서, 비용·품질·서비스와 같은 핵심적인 경영요소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도록 경영과정과 지원시스템을 근본적으로 재설계하는 기법
마이클 해머: 1990년 《하버드 비즈니스 리뷰》지에 이 개념을 소개
IMS(Intelligent Manufacturing System ): 기존 정보 통합 시스템에 지능화를 가미, 자율적인 정보분석 및 판단을 할 수 있게 해 경영 전반에 걸쳐 도움을 얻을 수 있는 최신 시스템
LMS(Loyalty Management System ): 각종 멤버쉽, 마일리지, 쿠폰 등 다양한 형태의 로열티를 제휴사 간 통합 운영 및 특정 가맹점들 간의 연합운영을 가능하도록 하는 것.
Mashup: 웹상에서 웹서비스 업체들이 제공하는 다양한 정보(콘텐츠)와 서비스를 혼합하여 새로운 서비스를 개발하는 것
SCM : 제조, 물류, 유통업체 재고를 최적화하고 리드 타임을 대폭적으로 감축하여 결과적으로 양질의 상품 및 서비스를 소비자에게 제공
SCP(Supply Chain Planning ):각 단계들은 서로 연계되어 정보가 전달되므로 실제 수요를 예측· 파악해 계획을 수립하는 등 기업이 더 나은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돕는다.
SCE(Supply Chain Execution): 실제 제품 판매 시 유통과정에서 제품의 흐름을 관리하는 시스템
WSDL(Web Services Description Language, 웹 서비스 기술 언어 ): 비즈니스 서비스를 기술하여 비즈니스들끼리 전자적으로 서로 접근하는 방법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확장성 생성 언어(XML)
벤치마킹: 기업에서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타사에서 배워오는 혁신 기법
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-
신기술
ITIL: 세계적으로 공인된 모범 실무를 제공하는 IT서비스 품질모델.
ITSM: 프로세스와 고객에 초점을 맞춘 서비스 관리
ISO20000: 국제표준화기구(ISO)가 2005년 발표한 IT서비스관리(ITSM) 국제 표준
SLA:Service Level Archeiture: 서비스 사업자와 사용자가 제공될 정보 서비스 및 조건들에 대한 책임과 의무를 기술해 놓은 협약서
증강현실: 현실세계와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가상현실의 하나를 의미
모바일컴퓨팅: 휴대형 기기로 이동하면서 업무를 처리할 수 있는 환경
플래시메모리: 전원을 차단하게 되면 저장되어 있던 자료는 모두 지워지는 휘발성 메모리
VOD: 사용자가 방송을 요청만 하면 동영상을 마음대로 볼 수 있는 서비스
Cordcutters: 인터넷 방송 서비스를 선택하는 소비자
노모포비아: 스마트폰 등 휴대전화가 없을 때 초조해하거나 불안감을 느끼는 증상
IMS: 인터넷 프로토콜(IP)을 기반으로 음성, 오디오, 비디오 및 데이터 등의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규격
NDN: 서버와 IP 주소 기반인 기존 인터넷 전달망(효율적인 콘텐츠 분해에 취약)을 대체할 미래의 인터넷 아키텍처. 콘텐츠 중심 네트워크(CCN: Content Centric Networking)와 동일한 개념.
인터넷 주소가 필요없이, 콘텐츠 자체를 네트워킹의 주체(Entity)로 사용하므로 사용자가 원하는 콘텐츠를 가장 가까운 곳에서 가져올 수 있다.
소셜다이닝: SNS를 통해 관심사가 비슷한 사람끼리 만나 식사를 즐기며 인간관계를 맺는 것
AMR: 자동 원격검침 시스템으로 검침원이 일일이 고객을 방문하지 않고 단말기를 이용해 검침 데이터를 읽고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
포스퀘어: 구글에서 독립한 데이스 크롤리(Dennis Crowley)가 2009년 3월에 발표한 위치기반 소셜네트워크서비스.땅따먹기
인포데믹스: '정보'와 '전염병'의 합성어
smoke testing: 소프트웨어 일부를 개발한 후 본격적인 시험 수행에 앞서 소프트웨어의 결함을 식별하고 변경의 유효성을 검사하는 시험의 형태
digital footprint: 사람들이 여러 웹페이지에 로그인을 하거나 결제 정보를 입력하는 등 온라인 활동을 하면서 남긴 기록
ransomware: 인터넷 사용자의 컴퓨터에 잠입해 내부 문서나 스프레트시트, 그림파일 등을 암호화해 열지 못하도록 만든 후 돈을 보내주면 해독용 열쇠 프로그램을 전송해 준다며 금품을 요구하는 악성 프로그램.
posix : 서로 다른 UNIX OS의 공통 API를 정리하여 이식성이 높은 유닉스 응용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으로 IEEE가 책정한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 규격
bitcoin: 2009년 1월 사토시 나카모토라는 필명의 프로그래머가 개발가상화폐
fintech: 금융과 IT의 융합을 통한 금융서비스 및 산업의 변화를 통칭한다.
trackback: 다른 사람의 글을 읽고 그 글에 직접 댓글을 올리는 대신에 자신의 블로그에 글을 올리고 글의 일정 부분이 다른 사람의 댓글로 보이도록 하는 것
webaholism: 인터넷에 접속하지 않으면 불안감을 느끼는 등의 인터넷 중독증 또는 의존증.
subscription commerce: 구매자가 정기 구독료나 가입비를 서비스업체에 지급하면 해당 업체가 상품을 알아서 선정 해 정기적으로 배달해주는 상거래
zapping effect: 채널을 돌리다가 중간에 있는 채널의 시청률이 높아지는 현상.
IOT: 사물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정보를 공유
thin client: 하드 디스크나 주변 장치 없이 기본적인 메모리만 갖추고 서버와 네트워크로 운용되는 개인용 컴퓨터(PC). 서버 기반 컴퓨팅이라고도 한다.
bio infomatics: 생물학적 데이터를 수집, 관리하는 기술
devops: 시스템 개발과 운영을 병행 및 협업하는 방식.
smart grid: 기존의 전력망에 정보기술(IT)을 접목하여 전력 공급자와 소비자가 양방향으로 실시간 정보 를 교환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최적화하는 차세대 지능형 전력망이다.
SDN: 하드웨어 중심의 네트워크를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전환,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을 통해 네트워크 경로설정과 제어 및 복잡한 운용관리를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는 차세대 네트워킹 기술
Hadoop: 대량의 자료(Big Data)를 처리할 수 있는 큰 컴퓨터 클러스터에서 동작하는 분산 응용 프로그램
CC: IT 제품의 보안성을 평가하기 위한 국제 기준(ISO 표준).
NFC: 10cm 이내의 가까운 거리에서 다양한 무선 데이터를 주고받는 통신 기술. 무선태그(RFID)기술 중 하나로 13.56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는 비접촉식 통신 기술이다.
IAM: 조직이 필요로 하는 보안 정책을 수립하고 정책에 따라 자동으로 사용자의 계정과 권한을 관리하는 솔루션.
N-screen: 하나의 콘텐츠를 이어서 볼 수 있어, 컴퓨터로 다운받은 영화를 TV로 보다가 지하철에서 스마트폰으로 보거나, 태블릿PC로 이어서 볼 수 있는 서비스다.
ERM: 기업의 모든 단위업무별로 흐름도를 분석하여 어떤 과정에 어느 정도의 위험요인이 있는지 평가하여 전 조직원들이 공유하도록 함
DLP: 기업 내부자의 고의나 실수로 인한 외부로의 정보 유출을 방지하는 솔루션
MDM: OTA(Over The Air, 휴대폰무선전송기술): 모바일기기가 Power On 상태로 있으면 원격에서 모바일 기기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.
USIM: 사용자 인증과 글로벌 로밍, 전자상거래 등 다양한 기능을 1장의 카드에 구현한 것이다. 3세대 이동통신(WCDMA)의 단말기에 탑재된다.
APT: 기다리면서 보안을 무력화시키고 정보를 수집한 다음 외부로 빼돌리는 형태의 공격
스턱스넷(Stuxnet)과 같이 악성코드가 담긴 이동식 디스크(USB) 등으로 전파하는 형태
pharsing:합법적으로 소유하고 있던 사용자의 도메인을 탈취하거나 도메인네임시스템(DNS)속여 사용자들이 진짜 사이트로 오인하도록 유도
social engineering :컴퓨터 보안에서 인간 상호 작용의 깊은 신뢰를 바탕으로 사람들을 속여 정상 보안절차를 깨트리기 위한 비기술적 시스템 침입 수단을 말한다.
zeus: 2007년 러시아에서 개발된 것으로 추정, 사용자의 온라인 뱅킹 계정 정보를 탈취하기 위해 개발된 상용 멀웨어(악성 소프트웨어) 주로 이메일 등을 통해 주로 전파
DES: IBM 사에서 개발하였고, 미국 국방성에 의해 채택, 데이터 암호화 표준으로, 대표적인 비밀키 암호화 기법이다. 56비트의 암호/복호 키를 이용하여 64비트의 평문을 암호화, 복호화하는 방식이며
Telepresence :공간적으로 떨어져 있는 장소 또는 가상의 장소를 신체적으로 경험
Widget: 컴퓨터에서 운영체제의 응용 프로그램을 동작시키고 결과를 화면에 표시하는 작은 그래픽사용자 인터페이스(GUI) 도구
ICN : 통신을 기반으로 한 이전의 인터넷 통신 패러다임을 정보 중심으로 재편성하려는 네트워킹이다. 절차보다는 목적에 집중
C4I : 군의 전 자원을 전산화하고 네트워크로 연결해 효율적인 전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통합 전장 관리 체계
OGSA : 애플리케이션 공유를 위한 웹 서비스 표준과 인프라 자원의 공유를 위한 그리드 기술이 결합된 개방형 표준이다. 웹 서비스를 그리드 상에서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중심의 상업적인 응용에 초점이 맞춰진 구조
Malware :악의적인 목적으로 작성된 것으로 악성 코드(Malicious Code) 또는 악성 프로그램
SEO :검색 엔진에서 검색했을 때 상위에 나타나도록 관리하는 것
Patent Troll: 특허권을 비롯한 지적 재산권을 통해 로열티 수입만으로 이익을 창출하는 특허 관리 전문 기업
LTE: 패킷 데이터 전송에 기반을 둔 다양한 서비스 지원을 목표로하는 기술, 최대 20MHz 대역폭에서 하향 링크 최대 전송 속도 100Mbps, 상향 링크 최대 전송 속도 50Mbps를 지원
Digital Forensics: ‘컴퓨터 법의학’이라 불리는데 전자증거물을 사법기관에 제출하기 위해 휴대폰, PDA, PC,서버 등에서 데이터를 수집 분석하는 디지털수사과정
Cyber Bullying: 특정인을 사이버상에서 집단적으로 따돌리거나 집요하게 괴롭히는 행위.
사이버 스토킹: 정보 통신망을 이용해 악의적인 의도로 지속적으로 공포감이나 불안감 등을 유발하는 행위
LBSNS: 스마트폰에 내장된 GPS수신기를 통해 고객의 위치를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종 이벤트의 정보공유, 의사소통까지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.
Digital Prosumer: 인터넷 커뮤니티에 참여해 콘텐츠를 즐기고 정보와 자료를 얻는 소비자이면서 동시에 의견을 적극 개진해 생산에도 영향을 미치는 사람을 말한다.
BEMS: 빌딩 내 에너지 관리 설비의 다양한 정보를 실시간 수집ㆍ분석해 에너지 사용 효율을 개선하는 시스템이다.
Femtocell: 사무실이나 집에 설치하는 초소형 이동 통신 기지국.
NRI: 세계 경제 포럼(WEF)이 국제적인 경영대학인 인시아드(INSEAD)와 공동으로 개인과 정부,기업의 정보통신기술(ICT) 발전도와 경쟁력을 국가별로 평가한 지수.
Space club: 자국 영토에서 자국 기술로 인공위성 및 우주선 발사가 가능한 국가들의 모임
GLONASS: 러시아의 전파 위성 항법 시스템
SSO: 단 한번의 로그인만으로 기업의 각종 시스템이나 인터넷 서비스에 접속하게 해주는 보안 응용 솔루션.
OTP: 로그인 할 때마다 그 세션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일회성 패스워드를 생성하는 보안 시스템.
DMB: 음성, 영상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신호를 디지털 방식으로 고정·휴대·차량용 수신기에 제공하는 방송 서비스.
VHF: 전파는 텔레비전과 라디오 전송에 널리 쓰이고 있다.대기에서 심하게 반사하지 않기 때문에 지구의 굴곡을 따라 쉽게 휘지 않고 따라서 지평선 너머로는 전송할 수 없다.
텔레매틱스: 통신과 정보과학의 합성어로 자동차와 컴퓨터·이동통신 기술의 결합을 의미하는 개념.
LBS: 이동성(Mobile) 기기를 통해 각종 교통 및 생활 정보를 실시간으로 받아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서비스
ITS: 교통수단 및 교통 시설에 전자·제어 및 통신 등 첨단 기술을 접목하여 교통 정보 및 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를 활용
GPS: 1970년대 초 미국 국방부가 지구 상에 있는 물체의 위치를 측정하기 위해 만든 군사용 시스템이었다. 그러나 오늘날에는 미 의회의 승인을 거쳐 민간부문에서도 사용
GIS: 지도에 관한 속성 정보를 컴퓨터를 이용해서 해석하는 시스템
데이터 웨어하우스: 방대한 조직내에서 분산 운영되는 각각의 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들을 효율적으로 통합하여 조정ㆍ관리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의사 결정 시스템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는 실무적인 활용 방법론이 제공
데이터마트: 데이터의 한 부분으로서 특정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데이터들을 담은 비교적 작은 규모의 데이터 웨어하우스
Data Mining(데이터 마이닝): 각 데이터의 상관관계를 인공 지능 기법을 통해 자동적으로 찾아 주는 과정
OLAP(On-Line Analytical Processing): 사용자가 다양한 각도에서 직접 대화식으로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
EIS: 기업의 상급 경영 관리직의 전략 구상을 지원할 목적으로 구축된 시스템.
ESS(executive support system): 경영 전략 지원 시스템
DSS: 의사 결정 지원 시스템
SIS: 전략 정보 시스템
VoIP: 공중 교환 전화망(PSTN)을 통해 이루어졌던 음성 서비스를 IP 네트워크를 통해 음성을 디지털 패킷의 형태로 전달하는 기술.
WIPI: 한국형 무선 인터넷 플랫폼 표준 규격.
롱테일: 1년에 단 몇 권밖에 팔리지 않는 '흥행성 없는 책'들의 판매량을 모두 합하면, 놀랍게도 '잘팔리는 책'의 매상을 추월한다는 온라인 판매의 특성을 이르는 개념.
망 중립성: 모든 네트워크 사업자는 모든 콘텐츠를 동등하게 취급하고 어떠한 차별도 하지 않아야 한다는 원칙.
킬러 어플리케이션: 오랜 기간 시장을 지배하고 있던 경쟁자를 압도한 소프트웨어.
i-Pin: 웹 사이트에 주민 등록 번호 대신 이용할 수 있는 사이버 신원 확인 번호로서 인터넷상에서 주민 등록 번호가 유출되어 도용되는 부작용을 막기 위해 만든 서비스.
Vandalism: 다수가 참여할 수 있도록 공개된 문서의 내용을 훼손하거나 엉뚱한 제목으로 변경하고 낙서를 하는 일.
QoE: 서비스 이용자가 각자의 기대치(expectation)에 근거하여 주관적으로 인지하는 어플리케이션 혹은 서비스의 총체적인 허용도.
통신 서비스의 품질에 관한 척도로서는 NP(망성능)와 QoS(서비스품질),QoE이 있다.
OSMU: 우수한 기획을 통해 제작된 1차 콘텐츠를 시장에 성공 시킨후 재 투자 및 라이센스를 통해 2차, 3차 콘텐츠로 발전시키는 전략
스콤: 미국 전자 학습 표준 연구 개발 기관인 ADL(Advanced Distributed Learning)에서 제정한 사실 표준.
ADL의 높은 요구 수준(accessibility, interoperability, reusability, durability, adaptability, affordability) 을 충족하기 위한 참조 모델
CTTH: 기존 케이블 방송망으로 초고속/대용량 서비스를 제공하는 새로운 전송 방식.고품질 IPTV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으며 기존의 케이블 업계가 활용하는 케이블 데이터 서비스 인터페이스 규격(DOCIS)이나 ETTH 방식보다 장비 설치비 저렴
포스트넷: 우체국 택배와 국제 특별 수송(EMS)을 강화하기 위해 우편물에 RFID 칩을 달아 언제 어디서나 실시간으로 그 우편물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우편 물류 시스템.
IT 규제준수: 기업의 활동이 정보시스템에 의존하는 바, 고객의 개인정보 보호, 자료의 보관, 기업의 회계 및 재무보고의 신빙성을 투명하게 하기 위해, 기업이 따라야 하는 규정과 지침 및 법규를 준수
에스크로 서비스: 전자 상거래 등에서 구매자와 판매자 사이에 중개 서비스 회사가 개입해 상품 인도와 대금 지불을 대행해 주는 서비스.
지그비: 저속, 저비용, 저전력의 무선 망을 위한 기술. 주로 양방향 무선 개인 영역 통신망(WPAN)기반의 홈 네트워크 및 무선 센서망에서 사용되는 기술
OCAP: 모든 종합 유선 방송(CATV)에서 운용될 수 있도록 대화형(interactive) 텔레비전 서비스나 응용 프로그램을 설계할 수 있는 자바(Java) 기반의 미들웨어 소프트웨어 계층을 포함하는 디지털 케이블 방송 미들웨어 표준
데이지: 시각장애인이나 독서 장애인을 위한 국제 디지털 문서 포맷.
CLMS: 정부가 디지털 저작물에 대한 체계적인 관리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시스템.
RVC: 엠페그(MPEG)에서 제정한 다중 비디오 부호화 표준.
WBAN: 웨어러블(wearable) 또는 몸에 심는(implant) 형태의 센서나 기기를 무선으로 연결하는 개
인 영역 네트워킹 기술.
증강현실(AR): 1997년 로널드 아즈마(Ronald Azuma)에 의해 구체화,실제 화면에 가상의 정보를 덧붙여 보여주는 기술.
그린IT: 정보 기술(IT) 전 분야에서 유해 물질 사용을 자제하고 에너지 절감을 통해 친환경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념.
WBS: 광대역 전송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
DDos: 감염된 대량의 숙주 컴퓨터를 이용해 특정 시스템을 마비시키는 사이버 공격.
DoS:시스템에 과도한 부하를 일으켜 정보 시스템의 사용을 방해하는 공격 방식
죽음의핑: 큰 패킷을 고의로 전송하여 발생한 서비스 거부(DoS) 공격
스턱스넷: 독일 지멘스사의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(SCADA)의 제어 소프트웨어에 침투하여 시스템을 마비하게 하는 악성 코드
살라미: 이탈리아 소시지를 얇게 썬다는 의미로 계좌를 불법으로 조금씩 옮기는 해킹
스니핑: 네트워크의 중간에서 남의 패킷 정보를 도청하는 해킹
제로데이 공격: 보안 취약점이 발견되었을 때 그 문제의 존재 자체가 널리 공표되기도 전에 해당 취약점을 악용하여 이루어 지는 보안 공격.
PKI: 공개 키 암호 시스템을 안전하게 사용하고 관리하기 위한 정보 보호 표준 방식.
CA: 보안 적격 여부 및 메시지 암호화를 위한 공개 키의 발급과 관리를 담당하는 신뢰성이 보장된 온라인상의 기관.
복호화: 암호화 과정의 역과정으로 암호 알고리듬에 의하여 암호문을 평문으로 바꾸는 과정.
이중인증: 기존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에 의한 인증 외에 인증 수단을 추가적으로 사용토록한 것.
생체인식: 지문, 홍채 등 개인마다 다른 신체 정보를 이용하여 개인을 식별하는 인증방법.
보안토큰: 전자 서명 키 생성, 전자 서명 생성 및 검증 등이 가능한 하드웨어 장치
집단지성: 웹 2.0의 주요 개념,다수의 개체가 서로 협력하거나 경쟁하여 얻게 되는 지적 능력의 결과로 얻어진 집단적 능력
W3C: 월드 와이드 웹 브라우저/서버 기술의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는 교육/연구 기관 및 관련 회사들의 단체
시맨틱 웹: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웹
XML: 하이퍼텍스트 생성 언어(HTML) 기능을 확장할 목적 표준화한 페이지 기술 언어
메타데이터: 일련의 데이터를 정의하고 설명해 주는 데이터
CRL: 더 이상 유효하지 않은 인증서 목록
ICMP: 오류의 처리와 전송 경로의 변경 등을 위한 제어 메시지를 취급하는 무연결 전송(connectionless transmission)용의 프로토콜(RFC. 792)
SYN: 동기를 취하거나, 유지하기 위한 신호로 사용되는 전송 제어 문자.
UWB: 중심 주파수의 20% 이상의 점유 대역폭을 가지는 신호, 또는 점유 대역폭과 상관없이 500MHz 이상의 대역폭을 갖는 신호.
WEP: 유선 랜(LAN)에서 기대할 수 있는 것과 같은 보안과 프라이버시 수준의 무선 랜(WLAN)의 보안 프로토콜.
WPA: Wi-Fi에서 제정한 무선 랜(WLAN) 인증 및 암호화 관련 표준
OWASP: 개방형 웹 애플리케이션 보안 프로젝트
애드훅: 기반구조 없는 네트워킹, 고정된 유선망을 가지지 않고 이동 호스트(Mobile Host)로만 이루어진 통신망
피코넷: 여러 개의 독립된 통신장치가 블루투스 기술이나 UWB 통신기술을 사용하여 통신망을 형성하는 무선 네트워크 기술
SCO: 두 장비 간에 음성과 같이 지정된 대역폭 통신을 위한 전용 회선의 동기식 접속 방법
다크데이터: 정보를 수집한 후, 저장만 하고 분석에 활용하고 있지 않는 다량의 데이터.
레드섹: 레이디어스(RADIUS: Remote Authentication Dial In User Service)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
블록체인:참여자(피어, peer)들의 개인 디지털 장비에 분산·저장시켜 공동으로 관리하는 방식.
그레이웨어: 정상 소프트웨어와 바이러스 소프트웨어의 중간에 해당하는 일종의 악성 소프트웨어.
타이포스쿼팅: 네티즌들이 사이트에 접속할 때 주소를 잘못 입력하는 실수를 이용하기 위해 이와 유명 도메인을 미리 등록하는 일.
QoS: 인터넷이나 네트워크 상에서 전송률 및 에러율과 관련된 서비스 품질
크리슈머: 프로슈머보다 발전된 개념으로 소비를 통해 욕구를 충족하는 수준을 넘어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는 창조적인 소비자.
BLE: 약 10 미터 도달 반경을 가진 2.4GHz 주파수 대역에서 저전력 저용량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한 블루투스 기술
인포러스트: 정보와 열광의 합성어로 ‘정보열광자’라고도 한다.
킬스위치: 분실한 정보기기를 원격으로 조작해 개인 데이터를 삭제하고 사용을 막는 일종의 자폭 기능
SAN: ‘광저장장치영역 네트워크’라고 불린다. 대규모 네트워크 사용자들을 위하여 이기종 간의 데이터 저장장치를 별도의 네트워크를 구성해 관리
크라우드소싱: 인터넷을 통해 일반 대중이 기업 내부 인력을 대체하는 것
IPv6: IPv4 프로토콜의 주소한계점으로 인해 , 대안으로 개발된 프로토콜
트러스트존: 프로세서(processor) 안에 독립적인 보안 구역을 따로 두어 중요한 정보를 보호하는 하드웨어 기반의 보안 기술.
QKD): 안전한 통신을 위해 양자 역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비밀 키를 분배·관리하는 기술
MEMS: 센서, 액추에이터(actuator) 등 소형 기계 구조물에 반도체, 기계, 광 등 초정밀 반도체 제
조 기술을 융합하고 미세 가공하여 전자기계적 동작할 수 있도록 한 마이크로 단위의 작은 부품 및 시스템, 또는 이
를 설계, 제작하고 응용하는 기술. 멤스는 정보기기의 센서나 잉크젯 프린터 헤드, HDD 자기 헤드, 프로젝터 등 초
소형이면서 고도의 복잡한 동작을 필요로 하는 기기에 사용된다.
위키노믹스: 참여형 인터넷 백과사전 위키피디아와 경제학의 합성어
컴패니언 스크린 - 엔스크린(N screen): PC · TV · 휴대폰 등 여러 단말기로 같은 콘텐츠를 끊김 없이 이용하는 체계
IMT-2020: 국제 전기 통신 연합(ITU)에서 채택한 5세대 이동 통신의 공식 명칭
백업의 종류 : 증분 백업 , 차등 백업
정보보안 3가지 목표인 기밀성(Confidentiality), 무결성(Integrity), 가용성(Availability)의 개념
기밀성 : 인가된 사용자만 정보 접근
무결성: 권한을 가진 사용자 정보 접근
가용성 적절한 시간에 정보 접근
IT/정보처리기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