스프링은 자바 기반의 오픈 소스 어플리케이션으로 좀 더 획일화되고 좀 더 편리한 방법으로 프로젝트를 진행 할 수 있습니다.
가장 큰 특징으로는 제어 반전(IoC : Inversion of Control), 의존성 주입(DI : Dependency Injection)이 있습니다.
스프링의 특징
1. IoC 는 사용자의 제어권이 있는 것이 아니라 프레임 워크에 있다는 의미입니다.
예를 들면 기존엔 객체를 생성하였지만, 스프링은 프레임워크가 실행 시, 객체 ( 빈 ) 을 생성하여 호출하는 형식으로 사용 합니다.
2. DI 는 스프링 프레임워크가 실행 시, 빈 형태로 객체가 스프링 컨테이너에 담기게 됩니다.
이를 호출하여 사용하는 방식을 의존성 주입이라고 합니다.
3. 트랜잭션이나 로깅, 보안과 같이 여러 모듈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기능을 모듈화 하여 중복 작업을 제거해 관리 할 수 있습니다.
스프링의 시작
Project Exploer New > Others 를 통해 Legacy Project를 생성합니다.
프로젝트의 패키지를 설정하는 부분이며 groupId, artiartifactId 로 이뤄져있습니다.
스프링 프로젝트를 처음 생성하게 된다면 아래와 같은 구조를 가지게 됩니다.
Maven 이란?
Apache Project 중 프로젝트의 라이브러리를 관리하는 기능을 합니다.
기존에는 라이브러리를 다운받아서 이클립스에서 WEB-INF/lib 안에 라이브러리를 추가해서 사용하였으나, 관리에 어려움이 있었습니다.메이븐을 사용할 경우, Pom.xml 파일에 <dependency></dependency>라는 태그를 추가함으로써 자동으로 찾아서 추가해줍니다.
메이븐은 스프링 안의 Pom.xml 에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선언하게 되면 기본적으로 {C:\Users\사용자}\.m2\repository
에 다운로드 됩니다.
Maven Repository 변경
Eclipse MarketPlace 에서 STS3 을 다운로드 받았다면 , 아래와 같은 경로에 라이브러리가 저장되고
변경하기 위해서는 settings.xml 파일을 생성해야 합니다. ( 만약 없다면 생성해야 합니다. )
settings.xml 에선 localRepository 안에 라이브러리를 다운로드 받을 경로를 수정 할 수 있습니다.
<settings xmlns="http://maven.apache.org/SETTINGS/1.0.0"
xmlns:xsi="http://www.w3.org/2001/XMLSchema-instance"
xsi:schemaLocation="http://maven.apache.org/SETTINGS/1.0.0
http://maven.apache.org/xsd/settings-1.0.0.xsd">
<localRepository>F://Maven/repository</localRepository>
<interactiveMode>true</interactiveMode>
<offline>false</offline>
</settings>
Eclipse 상단의 Window > Preferences 안에보면 Local Repository 경로가 변경 된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설정이 완료되었다면 우클릭 > Run As > Run on Server 로 정상적으로 실행 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.
'Web Programming > Projec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게시판 만들기] 3-3. Spring 게시판을 위한 Log4j2 와 Interceptor (0) | 2020.04.15 |
---|---|
[게시판 만들기] 3-2. Spring 게시판을 위한 web.xml 설명 (0) | 2020.04.14 |
[게시판 만들기] 2-4. JSP - Oracle 을 이용한 Model2 입니다. (0) | 2020.03.27 |
[게시판 만들기] 2-3. JSP - Oracle 을 이용한 Model2 입니다. (0) | 2020.03.27 |
[게시판 만들기] 2-2. JSP - Oracle 을 이용한 Model2 입니다. (0) | 2020.03.27 |